오늘은 aQbD 분석법 개발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좋은 실 사례가 있어서 자료를 공유합니다. 이번 자료를 통해 분석법개발에 많은 아이디어를 얻으셨으면 합니다.
FDA는 2011년부터 aQbD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료를 발표해 왔습니다. 2011년과 2013년에 발표된 자료는 주로 개념 설명에 초점을 맞췄으며, 2015년 발표 자료는 HPLC 분석법 개발에 aQbD를 실제로 적용한 사례를 다루고 있습니다.
2011년 : Qulaity by design Appraoches to Analytical Mehtod
2013년 : QbD Consideration for Analytical Method
2015년 : Experimental Design and Modeling to improve HPLC Method Performance for Small molecue
2015년 발표에서는 Sildenafil과 관련 물질들을 대상으로 aQbD 방식으로 개발된 HPLC 방법론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방법론은 기존 USP에 등록된 분석법으로는 6개의 화합물을 모두 분리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아래의 슬라이드에서 보듯이 기존의 USP 방법으로는 6개의 연관물질을 분리해내지 못하고 3개의 Peak 만 분리된것을 볼수 있습니다.
6개의 피크가 모두 분리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아래와 같은 3번의 스크리닝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3번의 스크리닝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이 6개의 Peak 가 모두 분리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Peak 2, 3, 4의 Resolution이 Cpk(공정능력지수) 1.33 이상을 만족시키는 조건 범위를 찾았습니다.
aQbD를 통해 만들어진 분석조건은 단일 조건이 아니라 아래와 분석목표를 만족시키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습니다. 분석의 목표 : Peak 6개가 모두 분리되고, peak 2, 3, 4 의 분리도가 2이상이며, Cpk 가 1.33 이하인 조건의 범위로 표기 할 수 있습니다.